재테크

9월 재산세납부하기 : 납부방법, 카드혜택

MIYA90 2022. 9. 21. 11:35
반응형

 

 

9월은 재산세 납부의 달입니다!

납부방법과 각 카드사별 혜택을 알아보겠습니다.

 

재산세 납부 다양한 방법으로 납부가 가능합니다. 계좌이체, 은행에서 직접 납부, 은행 ATM 납부, 위택스 홈페이지 또는 어플 등 온, 오프라인으로 납부할 수 있는 방법이 다양합니다.

 

전용계좌로 계좌이체

은행 현금인출기로 납부

백화점 상품권 결제

카드납부

 

이 중 본인에게 가장 이득이 되는 방법을 찾아 납부해야 하는데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현금납부-자동이체, 은행납부

 

전용계좌로 계좌이체나 은행 현금인출기로 납부하는 방법은 고지된 금액 그대로 현금 납부하는 방법입니다.

 

상품권 결제

 

잘 안 쓰는 상품권이 있거나 3-7%의 할인된 금액으로 상품권을 싸게 살 수 있는 분들은 상품권으로 결제하는 방법도 재산세 결제의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각 상품권을 계열사의 포인트로 전환하여 이 포인트로 세금을 납부하는 것인데요. 상품권을 싸게 구매하는 만큼 재산세 할인이 됩니다.

 

신세계 상품권

신세계 상품권은 쓱 페이(SSG pau)에서 쓱머니 형태로 전환한 후 서울시 세금납부앱(STAX)에서 세금마일리지로 전환한 후 납부하는 것입니다.

 

신세계 상품권의 쓱페이 전환 한도는 100만 원/월이며 충전과 전환을 합산한 통합한도는 200만 원/월입니다.

 

서울시 세금납부 앱(STAX)의 SSG머니 전환 한도는 1회 50만 원, 연간 120만 원입니다.

납부금액에 맞춰 미리 준비하면 편리하게 납부할 수 있습니다.

 

카드납부

 

세금납부 방법 중 가장 혜택이 많은 방법이 바로 카드납부입니다.

각 카드사별로 무이자 할부 분납, 캐시백, 커피 쿠폰 등 다양한 혜택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단, 카드납부의 경우 별도 포인트, 실적 적립은 안되고 체크카드는 납부액의 0.5%, 신용카드는 납부액의 0.8%의 수수료가 부가됩니다.

부가된 수수료와 혜택을 잘 비교해서 납부하셔야 합니다.

 

KB국민카드

 

30만 원 이상 신용카드로 일시불 납부 시 스타벅스 카페라테 1잔 증정(이벤트 응모 필요)

체크카드로 합산 20만 원 이상 납부 시 포인트리 4000점 제공(이벤트 응모 필요)

KB직장인 보너스 체크카드(연회비 없음)는 국세나 지방세를 10만 원 이상 결제하면 7000원 할인됨(전월 실적 30만 원 이상). 신규 발급자는 첫 두 달 동안 혜택을 받을 수 있음.

 

현대카드

5만 원 이상, 2-7개월 무이자 할부와 10-12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

M포인트 사용 가능 : 10000원 납부 시 15000M 포인트 사용

 

우리 카드

5만 원 이상 재산세 등 지방세와 국세 납부 시 2~10개월 무이자 할부, 12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 적용

 

롯데카드

50만 원 이상 결제 후 이벤트 응모를 한 고객에게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쿠폰 2매 증정

 

삼성카드

5만 원 이상 납부 시 2~3개월 무이자 할부 및 6/10/12개월 다이어트 할부 제공

 

 

삼성카드 홈페이지 또는 앱의 LINK 페이지에서 '세 급 납부' 링크 후, 삼성카드로 세금 건별 30만 원 이상 일시불 결제 시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쿠폰 2장 제공

 

NH카드

5만 원 이상 결제 시 6개월 무이자 할부

 

신한카드

5만 원 이상 세금납부 시 최대 2-7개월 무이자할부/슬림할부 제공

체크카드로 납부시 0.17%를 현금으로 캐시백(단, 현금 캐시백 금액이 1만 원 미만이면 마이신한포인트로 적립). 별도의 신청 필요 없음.

 

간편 결제 이용

 

간편결제 페이코를 이용하면 200명 추첨하여 5000 페이코 포인트를 제공.

 

*출처

각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