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기준금리, 코픽스 뜻 알아보기

MIYA90 2022. 6. 10. 05:34
반응형
 

 

제가 이사를 한지 거의 1년이 다 되어가요.

그 뜻은 6개월 변동 코픽스의 변동 시기가 다가왔다는 말이에요.

이 집으로 이사 오기 전에는 청년전세대출을 이용해서 2% 이하의 이자율로 아주 적은 이자를 납부하다가 여기로 이사 오며 대출금이 커지는 바람에 일반 전세대출을 이용해 2.5% 정도의 이자율로 대출을 받았어요.

그러다 6개월째에 금리가 올라 3.015%의 이자를 내고 있답니다.

 

저의 전세대출 이율 변동 : 2% -> 2.5% -> 3.015%

 

거의 0.5%씩 이율이 상승했는데요. 대출금액이 적지 않기 때문에 꽤 많은 부담을 받고 있어요.

이번에 다시 변동 시기가 왔는데, 기준금리가 또 올라간다는 이야기가 ....ㅠㅠ

 

이렇게 된 김에 기준금리가 뭔지 코픽스가 뭔지 공부해 보려고 해요.

미국 중앙은행 기준금리

 

미국 기준금리가 오르면 한국 기준금리가 오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한국의 기준금리를 보기 전에 먼저 미국 중앙은행 기준금리를 알아야 합니다.

출처:네이버

 

출처:네이버

 

미국 정부의 금융 정책을 결정하는 최고 의사결정 기관인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에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통해 지역연준과의 협의 하에 결정되는 미국의 기준금리를 의미한다. 정기적으로 약 6주마다 연 8회 개최되며 필요 시 수시 개최되기도 하는데, FOMC최종개최일 당일 성명을 통해 기준금리를 공표한다. 연준 기준금리는 향후 미국 연방 정부의 금융 정책을 예상할 수 있는 단서가 되며, 전세계 자신가치의 변동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경제지표로 볼 수 있다. [출처:위키 및 FED 홈페이지]

 

미국 기준금리는 2018년부터 2.5%를 유지했지만 코로나19로 인해 경기가 위축되어 1.75%로 인하했고, 2020년 3월 다시 0.5%를 인하해 1.25%를, 그리고 코로나19가 심각해지면서 2020년 8월부터는 1%를 인하해 0.25%를 유지해오고 있었습니다. 제로금리(0~0.25%)가 이루어진 것이죠. 제로금리는 약 2년간 지속되며 투자시장도 활성화되었고, 물가상승도 급격하게 진행되며 미국은 테이퍼링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2022년 3월 기준금리를 0.25%인상, 또 5월 0.25%를 인상하여 현재 미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는 1.00%까지 올랐습니다.

 

또한 연말에는 3%대의 기준금리가 예상된다는 전망이 나왔는데요.

한 번에 0.75%를 인상하는 자이언트 스텝의 이야기도 나오고 있지만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대상이 아니라고 해 조금은 안심이 되지만 0.5% 포인트 인상하는 빅 스텝은 검토되고 있기 때문에 연말까지 지속적인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되고 있어요.

더 빨라진 긴축시계연말 기준금리 3대 도달 | 한국경제TV (wowtv.co.kr)

 

더 빨라진 긴축시계연말 기준금리 3대 도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긴축 속도가 갈수록 빨라지면서 올 연말에 미국 기준금리가 3%대로 인상될 것이란 전망이 대세가 됐다. 8일 시카고상품거래소(CME) 그룹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www.wowtv.co.kr

 

 

 
한국 중앙은행 기준금리
출처:네이버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결정하는 정책금리를 말한다. 한국은행과 금융기관 간에 환매조건부채권매매(RP)와 대기성 여수신 등의 자금거래를 할 때 기준으로 적용된다. 2008년 3월부터 한국은행은 정책금리의 실체를 종전의 ‘익일물 콜금리 목표’에서 ‘기준금리(base rate)’로 변경하였다. [출처:한국은행 용어사전]

 

한국기준금리는 미국기준금리 인상을 대비하여 먼저 인상을 시작했습니다.

0.5%에서 0.25%씩 차근차근 인상해 현재 1.5%의 기준금리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올해 말까지 계속 인상하여 최소 2.25%가 예상된다고 하는데요. 기준금리가 2.25%가 되면 대출금리는 7%대를 넘을 것으로 예상해 대출자들에게 부담이 큰 상황입니다.

기준금리와 코픽스

 

은행 대출금리의 기준이 되는 자금조달비용지수. 국민·신한·우리·KEB하나·농협·기업·SC제일·씨티 등 8개 은행이 시장에서 조달하는 정기 예·적금, 상호부금, 주택부금, 금융채, 양도성예금증서(CD) 등 8개 수신상품 자금의 평균 비용을 가중 평균해 산출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코픽스 [cost of fund index] (한경 경제용어사전)

 

금융기관에서 대출해 주기 위해서는 고객이 돈을 맡기는 고객이 필요합니다. 돈을 맡기면 이자를 지급 해주게 되죠. 즉, 돈을 맡기는 고객에게 제공되는 금리의 평균비용이 코픽스가 됩니다.

 

기준금리가 오르게 되면 예금금리도 오르게 되기 때문에 기준금리는 코픽스에 영향을 주는 것이죠.

 

곧 저의 대출에 변동주기가 다가오는데 정말 걱정이네요 ㅠㅠ........

 

 

 

 

반응형